관광업이야기(항공+여행)(133)
-
HDC 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 인수 협상 원점으로.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또 다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바로 인수 주체인 HDC 현대산업개발이 코로나19로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자고 KDB산업은행 등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에 요구했기 때문인데요! 채권단 또한 이 요청을 받아 들이면서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먼저 제시해달라"고 했습니다. 이로 인해 아시아나 항공 인수 협상은 새로운 국면으로 다시 접어들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채권단은 또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진정성 있는 논의를 위해 서면이 아닌 협상 테이블에 나오라고 다시 제안했습니다. HDC현산의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재협상 요구에 일종의 불쾌감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HDC 현대산업개발이 최대한 유리하게 계약 조건을 바꾸려 한다는 분석도 있..
2020.06.12 -
국내항공사 연이은 유상증자 소식 (대한항공 유상증자, 제주항공 유상증자, 티웨이항공 유상증자) 및 에어부산 자본확충 방안 추진
코로나 19로 항공산업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국적항공사의 맏형인 대한항공에 이어 저비용항공사인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도 자금조달을 위한 방법으로 유상증자를 선택하여 공시했다. 이로써 매각이 진행중인 아시아나항공과 그 자회사인 에어부산을 제외하면 진에어만 제외하고 모든 상장 항공사가 유상증자를 실시한 셈이다. 아래표로 우선 간단하게 보고 한 회사씩 자세히 보도록 하자. 1. 대한항공 유상증자 대한항공은 5월 13일 약 1조 16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79,365,079주를 주당 14,600원에 발행하여 1조가 넘는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증자방식은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이며, 자금조달의 목적은 채무상환자금이다. 유상증자를 발표하던날 전후로 주가는 19,000원대를 유지하..
2020.06.09 -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인수 무산될까?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작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250억 원에 달하는 이스타항공 노동자들에 대한 체불임금 해결이 인수 작업을 마무리하는데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6월 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 작업 최종 종료 시한이 이달 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달 말까지 마무리되지 않으면 인수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앞서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주식 취득 예정일을 무기한 연기한 바 있고, 발행 예정인 1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납입일 또한 이달 30일로 변경 공시한 바 있다. 주식 취득 예정일 변경은 해외 기업결합 심사 승인 등의 선행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아서인데, 현재 베트남과 태국 등의 심사 승인이 남은 상태다. 여기에 이스타항공이 운항을 재개할 것이라고 계획한 날이 6월..
2020.06.04 -
아시아나항공 국유화 가능성 제기?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 급변하는 외부환경에 따라, 인수합병이 장기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은 HDC현대산업개발을 압박하고 있지만, HDC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러시아의 기업결합심사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는것이 매각 마무리를 지연시키는 원인이다. 그러나 기업결합심사가 끝나더라도 HDC가 섣불리 지분 인수에 나서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HDC가 현 상태에서 아시아나항공을 재무제표로 편입하면 그룹 전체의 경영 성적표가 급격히 안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의 국유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바로 늘어난 기간산업안정기금(기안기금) 지원으로 인해서다. HDC현대산업개발이 인수를 포기할 경우, 2조원 이상 기안기금이 ..
2020.05.26 -
국적항공사 국제선 운항 재개 준비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90%이상, 거의 모든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던 국적항공사들이 주요국가의 코로나19 진정세에 따라 국제선 운항 재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물론 당장 현재 수요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추후 여객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항공사(FSC)에 이어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순차적으로 재개 준비에 돌입했습니다. 여행수요 회복까진 갈 길이 멀지만, 각 국의 경제 재개에 따른 상용수요(출장) 회복 가능성은 어느때보다 커지고 있는 까닭입니다. 5월 22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나리타와 오사카, 중국 웨이하이 등 3개 국제선을 운항 중인 제주항공은 다음달 6일부터 인천∼마닐라 노선을 주 1회 운항하기로 했습니다. 나머지 LCC들도 그동안 '셧다운'한 국제선 노선 중 일부 운항 재개를 위해 홈페..
2020.05.25 -
세계 유수의 항공사도 빗겨나가지 못한 코로나 충격 (싱가포르항공, 타이항공, 에어캐나다, 에미레이트항공 항공)
안녕하세요 여행블로거 브라이언입니다. 어제 포스팅을 통해서 우리나라 국적항공사들과 주요 상장 여행사들의 1분기 실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항공사 및 여행사 1분기 예상대로 최악의 실적 기록 예견되었던 일이지만 막상 숫자로 보고 나니 매우 참담한 실적이다. 세계적인 전염병으로 인해 모든 산업이 어려운 가운데에 가장 타격을 많이 받은 항공사와 여행사의 1분기 실적이 공개되었�� bryan8.tistory.com 오늘은 해외의 이름만 들으면 아는 유수의 항공사들의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각 국가를 대표하는 국영·국적 항공사, 특히 FSC(Full Service Carriers)들조차 코로나19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쇼크를 받아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해있는데요 1.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항공은 ..
20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