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박물관 우리나라의 화폐 | 우리나라 화폐 소개

2022. 8. 1. 08:37국내여행

안녕하세요 찐 여행자입니다.

 

오늘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네번째 이야기로 우리나라 화폐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어찌보면 한국은행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 화폐 입니다.

 

우리나라의 화폐
화폐광장
우리나라 화폐
우리나라의 고대화폐
고려시대의 화폐
조선시대의 화폐
조선의 개인어음
개화기 화폐
우리나라의 기념주화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의 주인공 우리나라 화폐는 고대 화폐부터 고려시대 화폐

 

조선시대 화폐, 개항기 화폐 그리고 조선시대의 어음까지 전시되어있고 기념주화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념주화는 국가적인 행사를 치르거나 역사적으로 기릴 만한 인물이나 문화유산 등을 

 

국민과 함께 기념할 목적으로 발행합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최초의 기념주화는 1971년 3월 2일 발행된 '대한민국 반만년 역사 기념주화' 로서

 

해외에서 제조되고 발행되었습니다. 국내 기술로 우리나라에서 제조하고 발행한 최초의 기념주화는

 

1975년 8월 14일 발행된 '광복 30주년 기념주화' 였습니다. 

 

대한제국 시절 우리나라 화폐
일제강점기와 광복이후의 화폐
한국은행의 화폐
제1차 통화조치 때 발행된 한국은행권
국내제조 환 표시 은행권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화폐
개갑 백환권
한국은행 원 권
미발행 만원권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화폐
현행화폐권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친필사인 우리나라 화폐
돈을 보관하는 장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신권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참여정부 시절에 신권이 등장한 것으로 생각되고, 신사임당이 새겨지 오만원권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인이 있어 MB정부 시절에 발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2층에는 오만원권과 만원권 그리고 오천원권 천원권을 팔레트에 쌓아놓은 공간이 있습니다.

 

화폐를 운반하는 차와 화폐를 운반하는 기기가 전시되어 있는데,

 

정말 이걸 이용해서 오만원권을 집으로 가져가고 싶은 생각이 절로 들기도 합니다 

 

 

화폐를 운반하는 차
600억 어치의 현금
화폐를 옮기는 기기
상평통보 조선의 법화로 태어나다
상평통보

 

 

 

마지막으로 조선의 상평통보에 대한 의미와 탄생을 끝으로 우리나라 화폐 소개를 마칩니다. 

 

다음시간에는 역대 한은총재와 금융통화위원회 등 한국은행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